1. VS code에서 작업을 할 폴더를 생성하고 new terminal 을 열어줍니다. 2. npm init 입력 이런 출력이 나오면 성공
3. package.json 작성 시작
- 엔터를 치며 원하는데로 작성해주면 된다. 4. (추가) 제작된 package.json 파일의 scripts 부분에 start 속성 작성해주기 - nodemon - nodemon은 Node.js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할 때 유용한 도구이다. - 자동 재시작 : 코드 변경이 감지되면 서버를 자동으로 재시작해 줍니다.
2. app.js 파일 작성 : 서버의 역할을 할 파일이다.
const express = require('express'); // express 모듈 불러오기
const app = express(); //app 인스턴스 생성
app.set('port',process.env.PORT || 3000); //서버가 실행될 포트를 설정, process.env객체에 PORT 속성이 있다면 사용하고 없다면 3000
// 기본 라우트 설정 : 주소에 대한 GET요청이 올때 어떤 동작을 할지
app.get('/', (req, res) => { //req는 요청에 관한 정보가 들어있는 객체, res는 응답에 대한 정보
res.send('Hello Express');
});
// 서버 시작
app.listen(app.get('port'), () => { //지정한 포트에서 서버 실행
console.log(app.get('port'),'번 포트에서 대기 중');
});
3. 터미널을 통해 'npm start'을 입력하면 포트 3000번에서 실행된다.
- http://localhost:3000 번으로 이동하여 확인
4. (추가) html로 응답해보자
- 단! 파일의 경로를 path 모듈을 사용해서 지정해야한다.
const express = require('express');
const path = require('path');
const app = express();
app.set('port',process.env.PORT || 3000);
// 기본 라우트 설정
app.get('/', (req, res) => {
res.sendFile(path.join(__dirname,'/index.html'));
});
// 서버 시작
app.listen(app.get('port'), () => {
console.log(app.get('port'),'번 포트에서 대기 중');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