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체 글52 [디지털신호처리 | 핵심이 보이는 신호 및 시스템] 2장 신호와 시스템의 분류(개념 정리, 예제 풀이) 핵심이 보이는 신호 및 시스템신호와 시스템의 주파수 영역 해석을 배운다. 이번 2판에서는 적절한 수준의 넘치지 않는 내용에, 개념과 원리가 잘 정리된 초판의 장점을 유지하면서도, 초보 학습자들이 겁먹지 않고 편하게 볼 수 있도록 ‘학습이 편하고 친절한 책’에 방점을 두어 친근하게 접근하고자 했다. 핵심 내용을 일목요연하게 정리하고, 예제들도 더욱 쉽고 풍부하게 구성했으며, 연습문제도 질과 양 모두 세심하게 보완했다. 또한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도입하여 학습의 편의성과 체계화를 도모했다저자이철희출판한빛아카데미출판일2023.12.08본 글은 디지털 신호처리 강의를 수강하며 공부한 내용을 정리한 내용으로 틀린 내용을 포함하고 있을 수 있습니다 2장 신호와 시스템의 분류2.1. 신호의 분류2.1.1. 시간에 따.. 2025. 4. 4. [쉽게 배우는 운영체제 | 1장] 운영체제의 개요 쉽게 배우는 운영체제복잡하고 어려운 운영체제의 구조와 원리를 '요리사 모형에' 빗대어 이야기하듯 쉽게 풀어냅니다. 다양한 그림과 표로 개념 간의 관계를 명확하게 정리할 수 있고 주요 용어는 사전 형식으로 정리하여 쉽게 찾아볼 수 있습니다. * 본 도서는 대학 강의용 교재로 개발되었으므로 연습문제 해답은 제공하지 않습니다.저자조성호출판한빛아카데미출판일2023.01.30 본 글은 운영체제 강의를 들으며 복습을 위해 작성하는 글로 틀린 내용을 포함하고 있을 수 있습니다교재 : 쉽게 배우는 운영체제(한빛아카데미, 조성호, 2023) 1.1. 운영 체제 소개1.1. 1. 생활 속 운영체제오늘 날 우리들의 전화기에는 유튜브, 인터넷 등 프로그램 등이 설치되어있다.시계, 티비 등 우리 주변에는 기본 기능 외에 프로.. 2025. 3. 26. [RAG 기반 캐릭터 챗봇 만들기] 05. 자체 데이터셋 제작하기 중간 점검 부터 챗봇의 성능을 평가하기 위한 노력을 계속해서 해왔다.고민을 하다가 이전 사용하던 데이터셋을 변형하여 자체 데이터셋을 제작하기로하였다.조원 각각 데이터셋을 만들어보기로 하였는데, 해당 기록은 나의 데이터셋 제작 과정이다. 먼저 정확도를 측정하기 위해 사실 기반 질문들을 만들어보았다.해당 질문 데이터셋의 목표1. 사실을 정확히 질문하여, 정확도를 측정할 수 있는 답변을 얻을 수 있는 질문일 것2. event_summary를 더 자세하게 작성하여, event_summary와 response를 비교하여 응답을 평가 할 수 있도록 한다3. participants를 정확하게 뽑아낼 수 있도록 한다4. participants에 있는 캐릭터와 없는 캐릭터에게 하는 질문을 각각 50%의 비율로 하여, 자.. 2025. 3. 24. [RAG 기반 캐릭터 챗봇 만들기] 04. 중간 점검 저번 주 연구 중간 점검 발표를 했다.해당 발표자료를 살펴보며 이번주 어떤 점을 더 보완해야하는지, 보완점을 정리해보자01. 챗봇 및 연구 아키텍쳐현재는 간단하게 기존 잘 만들어져있는 헤리포터 데이터셋을 활용하여 RAG 검색을 할 데이터를 만들어 벡터로 임베딩 시켜주었다.말투 및 추가 설정은 프롬프팅을 통해 진행하였고,장면 검색 결과와 프롬프팅 결과를 통해 답변을 생성했다. 챗봇의 실제 유저 처럼 채팅을 해보기 위해 discord bot을 활용하였다. 또한, 다른 논문에서 만들어놓은 헤리포터 질문 데이터를 활용하여 답변의 헤리포터 내용적 정확도를 점검하고자 하였다.02. 장면 검색 데이터셋https://nuochenpku.github.io/HPD.github.io/download Harry Potte.. 2025. 3. 18. [디지털신호처리] 01. 신호와 시스템의 개요 핵심이 보이는 신호 및 시스템이 책은 전기전자/정보통신 관련 학과 학생들이 제어, 신호 처리, 통신을 비롯한 다양한 분야에서 신호와 시스템을 해석하고 설계하는 데 꼭 알아야 하는 내용을 다룬다. 먼저 신호와 시스템에 대한 기본 개념을 다지고, 연속/이산 시스템의 시간 영역 해석을 살펴본 후, 연속/이산 신호와 시스템의 주파수 영역 해석을 배운다. 이번 2판에서는 적절한 수준의 넘치지 않는 내용에, 개념과 원리가 잘 정리된 초판의 장점을 유지하면서도, 초보 학습자들이 겁먹지저자이철희출판한빛아카데미출판일2023.12.08본 글은 디지털 신호처리 강의를 수강하며 복습을 하기 위한 목적으로 작성된 글로 틀린 내용을 담고 있을 수 있습니다.교재 : 핵심이 보이는 신호 및 시스템, 이철희, 한빛 아카데미(2023).. 2025. 3. 18. [고급기계학습] 01. Preliminaries | 개요 및 기본 개념 (곡선 적합(Polynomial Curve Fitting), 확률 이론 (Probability theory)) 본 게시물은 고급 기계학습 강의를 수강하며 공부한 내용을 복습하기 위해 작성하는 글로 틀린 내용을 포함하고 있을 수 있습니다교재 : Bishop, Christoper. Pattern Recognition and Machine Learning. Springer, 2008참고 자료 : https://norman3.github.io/prml/2016/03/30/open.html[고급기계학습] 01. Preliminaries1.1. Introduction주어진 데이터 속 패턴을 찾는 것은 예로 부터 중요한 문제이다. 인간은 오랫 동안 이러한 패턴을 알아내기 위해 노력해왔으며, 많은 경우에서 유의미한 패턴을 발견하는데 성공하였다.1.1.2. Polynomial Curve Fitting ( 다항 곡선 적합)위 식에.. 2025. 3. 14. 이전 1 2 3 4 ··· 9 다음 반응형